기사 메일전송
[독자기고] 홀수 문화
  • 기사등록 2022-10-05 09:35:37
  • 수정 2022-10-05 15:11:49
기사수정

천곡 오 영 현홀수문화


홀수는 우리 민족 정신문화의 깊은 뿌리다.

거슬러 올라가 보면 까마득한 시절부터 조선의 혼속에 묻혀 내려온 민족문화다.


자연스런 일상생활의 넉넉한 관습에서 얻어진 지혜의 소산으로 홀수는 딱 맞아 떨어지는 짝수에 비해서 넉넉하고 여유롭다. 그중에서도 특히 3을 선호하고 있지만 1.3.5.7.9 모두가 우리 생활 속 깊이 맥을 내리고 있다.


우선 국경일이라든가 명절이 모두 홀수 날이다. 뿐만 아니라 때 맞춰서 돌아오는 절기가 거의 홀수 날에 들어있다. 설날과 추석이 그렇고 정월 대보름 삼짇날 단오 칠석 백중이 그렇다. 9월 9일은 중구일이라 하여 남자들은 시를 짓고 여자들은 국화전을 부쳤다.


천고마비의 살찌는 계절을 즐기던 조상님들의 흐뭇한 얼굴이 떠오른다.

생활 곳곳에 뿌리 내린 3의 의미는 더욱 다양하다. 사람이 죽으면 3일장 아니면 5일장을 치르는 것이 보통이지 4일장이나 6일장은 없다.요즈음 4일장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는 무지의 소치다

삼우제(三虞祭)가 있고 49제라는 추모의 날이 있다. 망자 앞에서는 홀수 날을 택하여 최대의 예우를 지키는 것이 뿌리 깊은 전통이다. 심지어 제물을 올려도 홀수로 올리지 짝수로는 차리지 않는다.


돌탑을 쌓아도 3 5 7 9 홀수 층으로 올렸을 때에 시각적으로 안정감이 들면서 보는 마음을 편케 한다.

애기를 낳고 금줄을 쳐도 세이레(三七日)동안 출입을 삼갔다. 신성한 생명을 지키면서 축복하자는 삼신할미의 준엄한 고지다.


봉투에 돈을 넣어도 우리 서민들은 짝수가 아닌 이상 3만 원 아니면 5만 원을 넣었지 4만 원이라든가 6만 원짜리 기부 촌지는 보기 어렵다.


조선시대 사대부가에선 짝수로 인사하는 법을 두고 여지껏 그런 것도 모르느냐’ 호통을 치곤 하였다

이렇듯 3 이라는 숫자가 우리들 생활 중심에서 축을 이루고 있다.


춥고 긴긴 겨울을 삼동(三冬)이라 했고 무더운 여름을 건너가려면 삼복(三伏)을 견디어야 한다.

무리를 일컬어 삼삼오오(三三五五)라 했고 색깔을 이야기할 때도 삼원색이 근원이다.

상고(上古)시대에 우리나라 땅을 마련해 준 삼신(三神)이 있다 하여 생명신으로 섬긴다.

삼신할머니..

삼재(三災)가 있는가 하면 또 삼재(三才)가 있다. 현대에는 시위문화에서 삼보배(三步拝)라는 것이 새로 생겼다. 간절하고 지극한 정성의 극치다.


가까운 이웃을 일컬어 삼이웃이라는 좋은 표현이 있는가 하면 잘 하면 술이 석 잔 못 하면 뺨이 석 대다.

힘겨루기 판을 벌여도 5판 3승제를 하며 만세를 불러도 삼창(三唱)까지 해야 속이 후련했다.

교회가면 하나님을 성부 성자 성신으로 말하기도 하며 스포츠 메달은 금.은.동으로 구분한다

무슨 일을 추진하려할 때 

서론 본론 결론 크기를 나타낼 때

대.중.소 높이를 나타낼 때

상.중.하 모두 세번을 나타낸다

가위 바위 보를 하더라도 삼세번을 해야 공정하다 했다

쓰리 아웃제도 있다


짝수는 죽은 자의 숫자이고 홀수는 산 자의 숫자란 말도 있다.

( 짝수는 2로 나누어서 나머지가 0 이 되는 수)


그래서 제사상에는 과일을 홀수로 올리고 절을 두 번 하지만 산 사람에겐 절을 한 번만 하면 된다.


절에가서 큰 스님 뵈면 절을 세번하는 것이 통례다 부처님 관음보살 문수보살이 모셔져 있다면 9배를 올린다 한분에게 3배 씩 존경의 표시다 삼박자가 맞아 떨어져야 목적한 것이 이루어진다는 믿음은 생활 속 곳곳에 숨어있다.삼각점은 안정된 균형을 이루고 있다


그만큼 3 이라는 숫자는 우리 생활의 디딤돌이요 구름판이다 


                                          2022. 10. 5

                                               새벽창을 열며

                               

                                                            천 곡  오  영  현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jnnews.co.kr/news/view.php?idx=33574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강진 백련사, 동백꽃 후두둑~
  •  기사 이미지 핑크 빛 봄의 미소 .꽃 터널 속으로
  •  기사 이미지 김산 무안군수, 사전투표 첫날 소중한 한 표 행사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