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룡 jnnews.co.kr@hanmail.net
2025년 전국적으로 중대재해가 작년 대비 감소했지만, 전라남도는 여전히 노동자들이 일터에서 목숨을 잃고 있는 현실입니다. 3월 한 달 동안만 전라남도에서 5명의 노동자가 사망했습니다. 노동부의 중대재해 발생알림으로 파악된 사고가 4건이고, 현장제보로 취합된 사고가 1건입니다. 심정지 등 통계에 잡히지 않는 중대재해는 더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3월 8일(토) 영암군 끼임 사망, 3월 14일(금) 고흥군 떨어짐 사망, 3월 19일(수) 함평군 떨어짐 사망, 3월 21일(금) 장성군 끼임 사망, 3월 25일(화) 영암군 자재 낙하 사망 등 사고 유형도 끼임, 추락, 자재, 낙하 등 다양하게 나타나 산업 전반의 구조적 안전 문제가 드러나고 있습니다.
이렇게 전라남도의 중대재해가 심각함에도, 그러나 전라남도의 재발방지 대책은 여전히 마련되지 않고 있으며, 노동자의 안전과 건강을 위한 제도적 개선 또한 제자리걸음입니다. 사고인지, 원인분석은 더디기만 합니다.
민주노총은 4월을 노동자 건강권 쟁취 투쟁의 달로 선정했습니다. 4월 28일은 산재 노동자의 날로 국가기념일로 첫 지정됐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을 기점으로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더 이상 전라남도만 뒷짐 지고 있어선 안 됩니다.
이에 전라남도 차원의 중대재해 재발방지 종합대책 마련, 사고 원인에 대한 신속하고 투명한 조사 시스템 구축, 노동자 참여 중심의 노동안전 협의체계 구성, 실효성 있는 중대재해처벌법 이행 및 감독 강화 등을 제안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합니다. 언론 노동자들의 적극적인 취재와 보도를 요청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