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룡 jnnews.co.kr@hanmail.net
[전남인터넷신문]최근 꽃과 꽃꽂이가 인간의 심리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치유적 기능에 관한 국내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 성과들을 치유농업 프로그램에 접목하면, 단순한 농작물 기반의 활동에서 벗어나 예술적 감성과 감각 자극 요소가 결합된 새로운 콘텐츠로의 확장이 가능하다. 이는 대상자의 연령, 성향, 심리적 특성에 따라 맞춤형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특히 ‘플라워 사이코로지(Flower Psychology)’는 화예와 심리학의 융합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일본 플라워 사이코로지 협회 대표 하마사키 에이코(浜崎英子)는 일본야외교육학회에서의 발표를 통해, 꽃을 통한 자아표현과 감정 치유의 가능성, 그리고 꽃과 인간의 심리적 관계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녀는 화예가이자 심리상담사로서 “꽃꽂이는 생명을 다루는 예술이며, 개인의 내면을 드러내는 치유적 도구”라는 관점에서 이론과 실천을 통합한 독자적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하마사키는 꽃이 단순히 시각적 즐거움을 넘어 오감을 자극하고, 개인의 기억과 감정을 환기시키며, 이 과정을 통해 자아를 성찰하고 타인과 감정을 공유하는 ‘치유적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고 말한다. 특히 꽃을 고르고, 자르고, 꽂고, 감상하고, 이별하는 일련의 과정은 대상자에게 자연스러운 심리 탐색과 자기표현의 기회를 제공하며, 생명의 순환을 몸으로 체득하게 한다.
이러한 ‘꽃과의 관계성’은 치유농업 프로그램 구성에 적절히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농장에서 자란 꽃을 활용한 꽃꽂이 체험은 고령자, 스트레스를 겪는 성인, 감정 표현이 서툰 청소년 등 다양한 대상자에게 적용 가능하며, 이 과정에서 대상자의 감정 변화, 자존감, 감각 인식을 관찰하고 기록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농작업 중심 프로그램에 감성적이고 예술적인 자기 성찰 요소를 더해줄 수 있는 방향이다.
하마사키는 전통 화도(華道)의 철학인 ‘가치 없는 꽃이나 사람은 없다’는 관점을 강조하며, 상담자의 태도와 연계해 설명한다. 꽃꽂이에서 어떤 꽃도 그 자리에 존재할 이유가 있듯, 모든 사람 또한 고유한 이야기와 가치를 지닌 존재라는 인식을 이끌어내는 것이 치유의 본질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프로그램 운영자는 대상자에게 무엇인가를 제공하는 ‘지시자’가 아닌, 함께 느끼고 반응하는 ‘동반자’로서, 자율적 표현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하마사키가 운영하는 교토의 ‘TuttiCasa(모두의 집)’는 이러한 철학을 실천하는 공간이다. 이곳에서는 꽃을 중심으로 디자인, 아로마, 바디워크, 미술, 상담이 융합된 통합적 치유 활동이 이루어지며, 최근에는 정서적 위기 상황에 놓인 아동·청소년 및 가정폭력 피해자를 위한 프로그램으로까지 확장되고 있다. 이는 한 송이 꽃의 생명과 개성을 존중하는 화예심리의 실천이자 확장이다.
이와 같은 사례는 한국의 치유농업 콘텐츠 개발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농장에서 재배한 꽃을 심리치유의 매개로 활용하고, 이를 통해 대상자의 삶의 이야기와 감정을 다룰 수 있도록 구성한다면, 치유농업은 단순한 생산 기반 활동을 넘어 ‘감정 회복의 공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동시에 농업인 역시 꽃을 ‘기르는 존재’에서 ‘사람의 마음을 돌보는 존재’로 자신의 역할을 확장하게 된다.
따라서 화예 심리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 개발과 활용은 치유농업의 프로그램 다양화, 대상자 확대, 정서적 효과 증진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실질적인 전략이 된다. 꽃과 화예의 치유적 가치를 인정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실현해 나간다면, 치유농업의 품격과 지속 가능성은 한층 더 높아질 것이다.
참고문헌
송미진. 2025. 치유농업에서 화훼장식의 비언어적 치유 효과. 전남인터넷신문 치유농업과 음식칼럼 (2025.7.17.)
浜崎英子. 2013. 花のある暮らしを取り入れ心豊かに生きる:フラワー・サイコロジーの活動から. 野外教育研究 17(1):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