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택배·전기점검 등 방문서비스 안심하고 받으세요 - 안행부, 13일 「가정방문서비스 안전대책」 발표
  • 기사등록 2014-08-13 19:27:51
기사수정
앞으로 500세대 이상 거주하는 공동주택의 경우 택배기사를 직접 대면하지 않고도 택배를 수령할 수 있는 무인택배함의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더불어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 서비스(SMS)를 통해 방문 예정된 수도검침원 및 가스·전기 안전점검원에 대한 사전확인 서비스가 확대돼 택배기사· 검침원 등을 사칭한 범죄가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안전행정부(정종섭 장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가정방문 서비스 안전대책」을 발표했다.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한 「2013 성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여성 10명 중 7명 이상(76%)이 “집에 혼자 있을 때 택배 등 낯선 사람의 방문이 무섭다”고 응답했다.

최근 3년간 20여 건의 택배기사·검침원을 사칭한 범죄가 발생했고, 1인 여성가구와 맞벌이 가구 증가로 인해 택배·검침에 대한 여성의 불안감 해소 및 자택 부재시 시민 편의를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시점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안전행정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는 8월 13일 ‘제119차 가정방문서비스 안전대책 관련 안전정책조정 실무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택배 관련, 여성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시민들의 편의를 제고하기 위한 여러 대책이 논의됐다.

국토부는 500세대 이상이 거주하는 공동주택에 무인택배함 설치공간을 두도록 제도화하고, 주민자치센터·주차장 등 지역거점에 택배사들이 공동으로 택배를 수탁하고 신청고객이 찾아가는 '공동거점형 택배' 사업을 시범 운영하기로 했다.

안전행정부는 서울시 등 일부 지자체가 시행 중인 무인택배함을 전국으로 확산하기 위해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무인택배함 설치·운영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며, 예산지원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복지부는 노인 일자리 사업의 하나인 ‘어르신 택배’ 사업을 널리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택배기사의 방문 배송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단문 메시지(SMS)를 통해 택배기사 이름, 연락처, 도착예정시간 등을 구체적으로 알리는 한편, 택배회사 홈페이지와 스마트폰 앱을 통한 택배기사 신원확인 서비스 및 택배기사 유니폼 착용 권장 등을 할 예정이다.

가정 방문이 이뤄지는 수도 검침은 수도요금 감면 등 인센티브를 제공해 거주자의 자가검침을 유도함으로써 직접 방문을 줄이고, 가스·전기 안전점검의 경우, 산업부 등과 협업으로 시행중인 사전 SMS 알림 서비스를 확대하고 점검원의 근무복을 통일함으로써 점검을 받는 시민들이 점검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 불안감을 해소할 예정이다.

이재율 안전행정부 안전관리본부장은 “국토부, 산업부, 복지부 등 부처 간에 긴밀하게 협조해 택배·검침 등 가정방문서비스를 여성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관계기관 및 시민들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해 정책을 보완해 나감으로써 안전대책이 현장에서 실제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jnnews.co.kr/news/view.php?idx=12722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주)국민, 장학금 기탁
  •  기사 이미지 서구, 골목정원 가꾸기로 ‘함께서구’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