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우울증 치료 및 외상후 스트레스 인지장애 극복가능성 열려 - 이화여대 류인균 교수팀, 크레아틴의 우울증 치료효과 메커니즘 규명 - 건국대 한정수 교수팀, 신경호르몬 옥시토신의 작용 메커니즘 규명
  • 기사등록 2015-12-29 15:05:30
기사수정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국내 연구진이 우울증상에 따른 뇌 대사와 뇌신경망의 변화를 규명하고 에너지 대사 촉진 물질인 크레아틴*의 우울증 치료효과에 대한 뇌과학적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증명했다고 밝혔다.

 

* 크레아틴(creatine monohydrate) : 근육세포나 뇌세포에서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는 물질로 최근 연구에서 우울증상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짐

 

또한, 신경호르몬 옥시토신*의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의해 손상된 인지기능이 비강을 통한 옥시토신 투여를 통해 성공적으로 회복됨을 증명하였다.

 

* 옥시토신 : 중추신경계에서 항불안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신경호르몬으로 출산, 젖 분비, 모성행동도 담당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극심한 외상성 스트레스에 노출된 후 특징적 증상을 보이는 불안장애 중 하나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지원하는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수행하였다. 이화여대 류인균 교수 연구팀이 수행한 크레아틴의 우울증 치료효과 메커니즘 규명에 대한 연구결과는 뇌과학 및 정신의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Biological Psychiatry 온라인판(12월 22일자)에 게재되었다.

 

※ (논문명) Effects of Creatine Monohydrate Augmentation on Brain Metabolic and Network Outcome Measures in Women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저자정보) 류인균 교수(교신저자, 이화여대), 윤수정·김지은 교수(공동 제1저자)

 

류인균 교수팀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크레아틴 병합요법이 우울증 치료제로 널리 쓰이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의 항우울 효과를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첨단 뇌영상 분석 방법론을 적용, 크레아틴의 우울증 치료효과에 대한 뇌기전을 규명한 것이다.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SSRI: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항우울제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약물로 신경전달물질 세라토닌의 시냅스 농도를 증가시켜 우울이나 불안 유발을 억제하는 약물

 

크레아틴이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우울증에 의해 감소된 뇌세포의 에너지 대사를 정상화시키며, 뇌영역간 신경망 연결을 증진시켜 우울증상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함을 밝혀냈다.

 

류인균 교수는 “기존 항우울제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뇌기전 치료 타깃을 발굴에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크레아틴과 항우울제의 병합요법은 유사한 스트레스성 뇌질환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의 불안 및 우울증상 치료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또한, 건국대 한정수 교수 연구팀의 스트레스성 인지장애에 대한 신경펩타이드*의 역할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동물모델을 사용한 조기진단기술에 대한 연구수행 결과도 생명과학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Scientific Reports 온라인판(12월 22일자)에 게재되었다.

 

* 신경펩타이드 : 수 개에서 수십 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

 

※(논문명)Oxytocin protects hippocampal memory and plasticity from uncontrollable stress

 

-(저자정보) 한정수 교수(교신저자, 건국대), 최세영(서울대); 이선영(제1저자, 건국대), 박성해(서울대)

스트레스는 해마 내 세포신호전달과정에 변화(MAPK* 인산화 감소)를 일으키는데, 연구팀은 옥시토신의 비강 내 주입 실험을 통하여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해마의 시냅스 가소성)이 성공적으로 회복되어 정신적 외상에 의한 인지장애 극복을 확인하였다.

 

*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인산화 효소 중 하나로 다양한 생명현상과 관련됨

 

옥시토신은 자궁수축 호르몬으로 뇌에서는 항스트레스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주사 등 일반적인 투여로는 뇌혈관장벽 투과율이 너무 낮아 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한정수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하여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치료에 옥시토신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제시했다”라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jnnews.co.kr/news/view.php?idx=15487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주)국민, 장학금 기탁
  •  기사 이미지 서구, 골목정원 가꾸기로 ‘함께서구’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보성신문 메인 왼쪽 3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