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 행사는 민․관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5G 생태계 백서를 공개하는 등 국내․외 주요동향을 공유하고, 5G 융합서비스 발전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산․학․연 관계자 150여명이 참석하였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민간기업 및 연구소, 대학, 출연연 등 미래 이동통신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5G 서비스실증, 실감형 콘텐츠 및 플랫폼, 응용단말 분야 주요 핵심과제 추진현황을 발표하고 향후계획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어서 5G 서비스, 주파수, 유․무선 기술개발 분야 주요 동향과 발전방향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고, 융합생태계 조성을 위해 국내외 융합산업 및 표준화 동향 등을 포함한 5G 생태계 백서를 공개하였다.
백서에는 5G와 타산업(자동차, 제조, 에너지, 안전, 공공분야) 융합에 대한 최신 동향과 함께 독일·영국·핀란드의 5G 테스트베드 현황을 소개하였다. 아울러, 융합생태계를 고려한 5G 이동통신 생태계 발전방향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테스트베드 조성방안을 제언하였다.
미래부 강성주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전세계가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접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초연결 지능정보사회를 실현하는 핵심 기반인 5G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밝히며,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본격 도래하게 되면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자율주행차 등 ICT와 타 산업이 융합되어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가 창출되고 업종 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파괴적 혁신이 5G 인프라를 통해 구현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끝으로 “‘18년 평창 5G 시범서비스를 기반으로 우리나라가 5G 융합생태계를 조성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산․학․연․관 모두가 힘을 모아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