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사진가 최용백, 600년의 향기, 강릉 오죽헌 율곡매 출판 - 주관: 한국환경사진연구소, 인천문화재사진연구소
  • 기사등록 2021-08-25 18:39:38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천연기념물 제484호, '강릉 오죽헌 율곡매(栗谷梅)'가 죽어가고 있다.

 

한국환경사진연구소, 인천문화재사진연구소 주관으로 사진가 최용백은 판형(190×250

mm), 148페이지, 올 칼라, 도서출판 숲과 샘에서 2021년 7월 26일 정가 4만원 <600년의 향기, 강릉 오죽헌 율곡매> 출판하였다.

 

도서출판 숲과 샘에서 발행한 <600년의 향기, 강릉 오죽헌 율곡매>는 1부: 매(梅), 2부: 가족, 3부: 동행, 4부: 진, 5부: 선, 6부: 미, 7부: 후계 매(梅), 부록 등으로 구성되었다.


<600년의 향기, 강릉 오죽헌 율곡매>는 오죽헌에 있는 매화나무이다.


천연기념물 제484호로 지정된 '강릉 오죽헌 율곡매(栗谷梅)'가 죽어가고 있다. 매화나무 나이는 600년이다. 2007년 10월 8일 천연기념물 제484호로 지정되었지만 현재는 뿌리 일부만 살아 있을 뿐 줄기도 예전의 10분의 1로 감소했다. 화려한 자태를 뽐내고 있어야 할 매화꽃이 2021년 봄에는 가지 일부분만 꽃을 피우고도 600년 역사에서 우러나오는 깊은 향과 우아한 자태를 드러냈다. 

 

2017년 봄부터 갑자기 율곡매의 잎이 피어나다가 쪼그라드는 등 나무의 힘이 약해진 것이 발견된 이후 회복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나무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한다. 

 

오죽헌 별당채 몽룡실 뒤쪽 모서리에 있는 율곡매는 오죽헌이 들어설 당시인 1,400년쯤 심어졌고,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가 나무를 직접 가꾼 것으로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 이 매화는 가족처럼 사랑을 받으며 한 가문의 삶의 방향을 가리켜 주었던 나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600년 시간 속에서 600번 이상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고 인간과 함께 살아온 나무에서 자연의 경외심과 위대함을 느끼게 된다.

 

우리나라에서 4대 매화나무는 강릉 오죽헌 율곡매(천연기념물 제484호), 순천 선암사 선암매 제488호), 구례 화엄사 매화(천연기념물 제485호), 장성 백양사 고불매(천연기념물 제486호)로 600년 이상 산 나무는 순천 선암사 선암매와 강릉 오죽헌 율곡매이다. 

 

현재 나무 자체의 생육상태가 10% 정도로 꽃을 피우고 있는 일부 나무의 열매도 강한 바람에 사전에 다 떨어져서 좋은 열매를 수확하지 못했다고 한다. 율곡매 담장 아래는 10년 전에 열매 씨앗에서 육성된 후계목이 자라고 있으나 과학적인 방법으로 DNA 분석, 후계목인지 구분해보아야 한다고 한다. 

 

수령 600년의 고목에서 피어난 매화꽃의 운명을 단정 지어 말할 수 없다. 오직 꽃만이 알 것이다. 서서히 죽어가면서도 자신의 모습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 죽을 힘을 다 해 꽃을 피우며 봄을 알리고 있다. 추운 겨울을 보내고 봄날을 기다리는 수많은 사람들을 위해 600년의 고목은 올해도 당당하게 꽃을 피웠다. 

  

매화는 눈보라 속에서도 굳은 절개를 지키고 강인한 생명력으로 꽃을 피워내기 때문에 꽃말도 인내, 고결한 마음, 기품, 품격, 고결, 결백, 충실이라는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언제 생명의 끈을 내려놓을지 몰라 이번이 마지막이 될 수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 매화의 장엄한 모습을 영원히 남겨야 하겠다는 의지가 더 강하게 타올랐다. 죽어가고 있는 나무에 겨우 붙어서 생명을 유지하고 있는 꽃이지만 600년의 향기를 풍기는 아름다운 매화는 이 땅의 문화재이며 역사를 이어온 전통이며 자연유산으로서 그 무게는 영원히 기억될 것이다. 

 

사진가 최용백은 전남 보성군 벌교출신으로 벌교서교, 벌교중학교, 벌교상업고등학교, 인천재능대학교 사진영상미디어과, 초당대학교 사진영상학과, 가천대학교 디자인대학원에서 포토그라피 전공(석사) 졸업을 했다.

 

다큐멘터리 사진가로 환경과 문화재 등, 인간에 의해 변화된 환경을 지속적으로 발표했으며, 개인전으로는<변모하는 富平>,<세계꽃박람회 초대전 인천생태 자연의 함성>,<강화도, 불교를 찾아서>,<인천불교문화재 사찰의 역사를 찾아서>,<조선사찰 31본산>,<전등사100년전>,<조계종 25교구 본사>,<백운 이규보의 삶과 발자취>,<생명의 터 갯벌과 하천>,<생명에 대한 명상>,<강화도, 전등사100년전 시간여행>,<영화 속의 인천>,<인천의 변모>,<수인선 소래철교1996-2011>,<백령도, 평화를 품다>,<수인선 소래철교>,<대청도,모래사막>,<墨墨한 섬, 백령도>,<송도, 갯벌의 기억>,<도시, 생명의 명상>등, 총 49번 전시를 하였고, 세계유산 남한산성의 아름다움을 담은 사진과 <가을맞이 가곡의 밤>(성남아트센터, 2017) 공연을 하였다. 2002년부터 2014년까지 인천녹색연합과 화도진도서관 공동 기획으로 <인천하천, 하천은 살아있다>,<인천, 어제와 오늘>,<인천의 변모>,<사진으로 보는 인천교육 반세기>,<2008城南文化藝術> 찾아가는 환경,문화예술 순회 전시를 55번을 했다.

 

부평사진역사관 51점(2000-2011), 인천자연생태사진전시관 54점, 부평역사박물관 7점, 화도진 도서관 향토개항문화자료관 75점, 계양도서관 6점 소장 전시, 성남문화재단 3점, 인천문화재단 1점, 송광사 성보박물관 3점, 인천재능대학교 미술은행 4점 전시소장, 인천광역시의회 전시소장 1점 등, 여러 곳에 사진작품이 영구보존 소장 전시 되어 있으며, 제12회 인천.경기 환경대상(2007), 경원문화상(2010), 가천문화상(2012), 제33회 인천광역시 문화상(2015), 글로벌교육브랜드대상(2016), 제12회 대한민국 환경대상 문화예술 부문(2017), 사)한국프로사진협회 공로상(2017.2018.2019), 제13회 대한민국 환경대상 환경문화 부문(2018), 환경부장관상(2018), 제40회 인천광역시 시민상 환경분야(2018), 제23회 인천환경대상(2018), 해양수산부장관상(2021)을 수상했다.

 

출판으로는 <변모하는 富平>,<인천생태, 자연의 함성>,<인천환경2001 우리가 본 환경>,<인천 하천, 하천은 살아 있다>,<1롤 40컷 맥아더 장군상>,<생명의 숲 인천대공원>,<인천의 변모>,<강화도, 미래신화의 원형>,<인천불교문화재, 사찰의 역사를 찾아서>,<인천지하철 이야기>,<인천의 변모>,<覺海-범패와 작법무>,<인천의 산-만월산 이야기>,<탄천 이야기>,<경원의 미소>,<마지막 협궤열차 수인선 소래철교1996-2009>, 

<올제, 인천의 해돋이 해넘이>,<사진, 환경을 만나다>,<성남구경, 성남9경>,<백령도, 평화를 품다>,<사진, 남한산성을 품다>,<대청도, 모래사막>,<사진, 물을 담다>,<벌교의미소, 어머니의 시간>,<송도, 갯벌의 기억>,<환경과 대화>,<사진, 세상을 비추다-환경과 소통->,<사진, 세상을 비추다-환경과 소통->,<사구, 대청도 모래사막 그리고 신두리 모래언덕>,<송도, 벽해도시(碧海都市)-갯벌의 변천사(變遷史)>,<사진, 환경을 말한다>,<이기우, 거제 바다애(愛) 빠지다>,<도시, 생명의 명상>,<한국사진신문 포토뉴스 제1권-제4권>,<사진, 환경사랑>,<600년의 향기, 강릉 오죽헌 율곡매>,<350년의 향기, 장성 백양사 고불매>,<120년의 향기, 강릉 방동리 무궁화>,<600년의 향기, 순천 선암사 선암매>등 총61권이 있으며, 논저(연구)로는 <문화,관광분야 사진제작의 실제>,<행사 사진에 대한 Multi Vision연구>,<사진 이야기>,<소래포구 유역의 역사성과 다큐멘터리 사진적 표현-수인선 소래철교1996-2009>,<깨달음의 미소 世主堂 妙嚴明師 다비식(茶毘式)>,<봉녕사 육법공양 연구 발간>,<寫伯 林泉集 사진, 기록과 선택>외, 사진 연재로는 계양신문(2002), 만불신문(2004), 동아일보(2005), 월간 굿모닝 인천(2005), 월간PRO portrait(2017), 한국사진신문(2020) 등, 총 48종(건)이 있다.

 

인천대학교, 경원대학교, 인천재능대학교 사진영상미디어과, 가천대학교 환경디자인대학원, 가천대학교 스포츠 문화대학원 외래교수, 부천대학교 사회교육원사회문화교육센터 교수, 인천재능대학교 특임교수, 인천재능대학교 평생교육원교수, 예술단체 야망과 사랑 회장, 포토뉴스 발행인, 월간 PRO portrait 편집위원, 사)한국프로사진협회 문화사업위원장, 강남문화재단 문화예술 정책지원 전문가 프로보노, 사)한국프로사진협회 문화원 연구원, 역임 및 인천문화재사진연구소 소장, 한국환경사진연구소 소장, 한국디자인사진연구소(K.D.P) 소장, 한국문화재사진연구소 부소장, 한국사진심리상담협회 연구교수, 노원 열린문화 마을학교 자문위원, 인천녹색연합 자문위원, 월간 환경미디어 편집위원, 우리사진스튜디오 대표, 화도진문화원 이사, 임천사진미술관 관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E-mail: 100yong100@hanmail.net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jnnews.co.kr/news/view.php?idx=30878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곡성 곡성세계장미축제 개장
  •  기사 이미지 김이강 서구청장,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 참석
  •  기사 이미지 보성군, 보성의 소리를 세계의 소리로! 제26회 서편제보성소리축제 시상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