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고인의 휴대폰 비밀번호 해제 가능해진다 - 유동수 의원 , “ 시대의 변화에 맞춰 이용자의 사망 혹은 실종 이후 유족의…
  • 기사등록 2025-04-07 11:49:37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사망자나 실종자의 디지털 정보에 가족 등이 접근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전망이다 .

 

유동수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제 20 대 · 제 21 대 · 제 22 대 인천 계양갑 ) 은 디지털 유산에 대한 접근을 제도화하는 내용을 담은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 ( 이하  정보통신망 이용촉진법 ’) 을 대표 발의했다 .

 

오늘날 디지털 기술의 일상화로 인해 연락처 일정 메시지 등 다양한 개인정보가 휴대전화나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등이 운영하는 계정 등에 저장되어 있다 .

 

하지만 현행법상 휴대폰 제조사 및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등은 고인이나 실종자의 휴대전화 및 계정 잠금을 가족 등을 위해 해제할 법적 근거가 없어 이용자가 사망하거나 실종되는 경우 가족 등은 이용자의 개인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 .

 

이용자가 갑작스레 사망할 경우 유족들은 고인의 휴대폰이나 계정에 걸려있는 암호 등 보안을 해제할 수 없어 장례 절차를 진행하기 위한 고인의 지인 연락처 등 최소한의 정보조차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

 

이에 유동수 의원은 ▲ 사전에 이용자가 자신의 디지털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계정대리인을 지정하고 ▲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계정대리인 접근 범위를 설정하고 ▲ 사망 혹은 실종시 계정대리인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 이용자의 계정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을 담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법  을 발의했다 .

 

유 의원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등 대형 참사 때마다 고인과 실종자의 디지털 정보에 대한 가족 등의 접근 권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며  최근 참사에서는 정부와 기업 간 협의 끝에 유가족에게 연락처가 제공되었으나 입법 공백 상태에서 언제까지나 정부와 기업의 선의에만 기대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고 지적했다 .

 

이어 유 의원은  현행법은 유족의 정당한 권리 행사조차 개인정보 보호를 이유로 가로막고 있다  며  시대의 변화에 맞춰 고인이나 실종자의 사전 동의를 전제로 유족의 접근권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고 강조했다 .

 

끝으로 유동수 의원은  이번 개정안을 통해 고인의 프라이버시권과 유족의 상속권을 함께 보호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고 강조했다 .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jnnews.co.kr/news/view.php?idx=40145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여성 40억의 힘, 평화를 열다"… IWPG 글로벌 4국 ‘4.26 세계여성평화의 날’ 6주년 기념식 개최
  •  기사 이미지 노란 유채꽃 물결에 빠진 월출산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전국생활체육대축전 축구․패러글라이딩 종목 유치
보성신문 메인 왼쪽 3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