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황복사 탑에서 출토된 순금제 불상
  • 기사등록 2008-05-21 00:21:00
기사수정
 
1942년 경주시 구황동의 전 황복사터 삼층석탑에서 출토된 불상이다.

불상이 들어 있던 금동사리함의 명문에 의해 그 제작연대를 추측할 수 있다.

명문에는 706년 성덕왕이 순금제 미타상 1구를 납입하였다고 하나 실제는 2구의 불상이 발견되었다. 서있는 자세의 불상은 약간 좁은 어께에 두텁게 표현된 옷을 걸치고 앞면에는 U자형의 옷 주름이 새겨져 있어 삼국시대 불상의 양식이 남아 있음을 알수 있다.

앉은 자세의 불상은 뚜렷한 이목구비와 균형 잡횐 몸매에 양강이 강조된 표현 등 사실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통일신라 8세기 초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두 불상중 706년 봉안한 순금제의 미타상은 좌상으로 여겨지며 입상은 석탑을 제작할 즈음인 692년네 넣은 것으로 여겨진다. 두 불상을 통해 불과 10여년 사이에 반영된 새로운 조갇 양식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공: 권강미(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jnnews.co.kr/news/view.php?idx=761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여성 40억의 힘, 평화를 열다"… IWPG 글로벌 4국 ‘4.26 세계여성평화의 날’ 6주년 기념식 개최
  •  기사 이미지 노란 유채꽃 물결에 빠진 월출산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전국생활체육대축전 축구․패러글라이딩 종목 유치
곡성 섹션 하단 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