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광주시, 공공부문 비정규직 개선 위한 실태조사 실시 - 광역지자체 중 전수조사는 최초… 비정규직 개선 종합대책 수립에 활용
  • 기사등록 2014-10-20 16:01:54
기사수정

광주광역시가 공공부문 비정규직 개선사업을 위한 첫 발걸음을 내딛었다.

 

광주시는 올해 초부터 광주비정규직지원센터(센터장 명등룡)와 함께 광주시청과 산하 공공기관 전

체 비정규직 1374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 결과, 광주시 공공부문 내 비정규직은 평균적으로 주 44시간을 일하며, 근속기간 3.3년에

월 평균 1654000원의 급여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종별로는 지하철 역무원이 전체 평균 수준인 165만원을 받고, 시설관리기술지원 업무 종사자가

202만원, 청소급식 조리원 등은 129만원으로 각각 최고, 최저 수준의 임금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번 조사 응답자의 92.3%는 무기계약직으로, 이들 중 72.7%가 정규직으로의 전환을 가장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리후생에 있어서는 정기승급상여금하계휴가 등의 순으로 희망하고 있다.

 

또한, 광주시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96% 이상이 4대 보험의 적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

라 전체 평균인 50% 비해 월등하게 앞서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한 비정규직 개선방안으로는 연중 업무로 향후 2년 이상 지속이 예상되

는 업무에 관해서는 정규직으로 전환할 것과 생활임금과 호봉제 도입 등으로 처우를 개선할 것을 제

안했다.

 

이번 조사는 대상자 1374명 중 907명이 응답해 표본율은 66%이며, 신뢰도는 95%로 오차범위는

±3%.

 

특히, 이번 조사는 무기계약, 기간제, 간접고용 등 모든 형태의 비정규직을 대상으로 실시한 것으로

민선 6기 비정규직의 차별해소 공약 실현을 위한 객관적이고 실질적인 수치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

과 전국 16개 광역시도 중 전수조사는 최초로 실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와 관련, 광주시는 비정규직 현황과 실태에 관한 객관적인 자료를 관련 전문가, 관계자들과 공유

하기 위해 지난 17일 시청 4층 세미나1실에서 공공부문 비정규직 실태조사 결과 보고회를 개최했으

,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비정규직 보호와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키로 했으며,

후 기초자치단체는 물론 민간부문으로 조사 범위를 확대해 광주시 비정규직 종합대책을 수립할 계

획이다.

 

한편, 광주시는 민선6기 들어 신설된 사회통합추진단 내에 비정규직 개선팀을 설치해 공공부문 비정

규직 차별해소TF를 운영하고 연내 연구용역 발주를 통해 구체적인 추진방안을 마련, 2018년까지 단

계적으로 비정규직의 차별해소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jnnews.co.kr/news/view.php?idx=13190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서구, 골목정원 가꾸기로 ‘함께서구’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  기사 이미지 곡성 곡성세계장미축제 개장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