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직장인 절반가량, 전공 맞춰 취업 - 전공 살려 취업하는 것이 회사생활에 도움된다!
  • 기사등록 2018-10-12 15:31:52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김동국 기자]하반기 채용 시즌이 도래했다. 최근 채용에서 가장 도드라진 특징은 지원 직무에서의 역량과 ‘직무 적합성’의 평가가 중요해진 것이다. 직무에 따른 대학 전공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일선에 있는 직장인들은 직무와 전공의 상관관계를 얼마나 느끼고 있을까.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이 직장인 546명을 대상으로 ‘전공과 직업 관계’에 대해 조사한 결과 76.9%가 ‘전공을 살려 취업하는 것이 회사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전공을 살려 취업한 것이 회사 업무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업무 이해력과 적응이 빠르기 때문’(77.1%, 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계속해서 ‘해당분야의 지식과 경험을 쌓을 수 있기 때문’(48.6%), ‘배운 지식을 살려 취업할 수 있기 때문’(44.5%), ‘스스로 업(業)에 대한 정체성이 확고하기 때문’(32.4%)의 답변이 이어졌다.

실제 응답자의 48.7%는 입사시 본인의 원전공을 살려서 취업을 했다. 복수전공이나 부전공을 살려 입사하는 경우도 11.4%였다.

반면 전공을 전혀 살리지 못하고 취업한 응답자도 39.9%였는데, 이들은 전공을 살리지 못한 이유로, ‘취업이 급해서’(32.6%, 복수응답), ‘전공이 적성과 맞지 않아서’(28%), ‘전공과 관계없이 할 수 있는 일이 더 많아서’(26.1%), ‘졸업 후 진출 분야가 많지 않아서’(25.2%) 등을 꼽았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전공을 선택했을 당시 향후 직업까지 고려를 했을까. 
62.3%는 ‘직업을 고려한 선택’이었다고 답했다. 해당 전공을 선택한 이유도 ‘특기 및 적성과 잘 맞아서’(37.5%, 복수응답), ‘취업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34.8%)가 상위권이었다. 그 밖에 ‘지원할 수 있는 성적에 맞춰서’(23.8%), ‘학문적 관심이 높아서’(23.4%), ‘희망 직무와 관련 있어서’(21.1%) 등의 이유가 있었다.

한편, 직무와는 별개로 직장인 59%는 회사생활을 하면서 ‘전공 선택을 후회한 적 있다’고 밝혔다. 후회 경험은 ‘인문/어학계열’(65.1%) 전공자가 가장 많았고, ‘예체능계열’(61.4%), ‘사회과학계열’(58.8%) 등의 순이었다. 다시 전공을 선택하면 바꾸고 싶은 의향을 가진 이들도 66.8%였으며, ‘이/공학계열’(48.2%)로 전환하고 싶은 의견이 가장 많았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jnnews.co.kr/news/view.php?idx=23806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서구, 골목정원 가꾸기로 ‘함께서구’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  기사 이미지 곡성 곡성세계장미축제 개장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