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수리불안전답 이용 약용작물 특화단지 조성 - 친환경 우수한약재 국내 최대 생산거점으로 육성, 쌀 수급문제 해결
  • 기사등록 2009-07-16 21:05:29
기사수정
전남도는 단위당 생산성이 낮은 수리불안전답 중 약용작물 재배가 가능한 1,500ha(전남도 천수답 및 수리불안전 답 3,209ha의 47%)를 친환경약용작물 특화단지로 조성하여 국내 최대 우수한약재 생산거점 으로 육성해 나가는 한편, 작목전환을 통해 쌀 수급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키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오는 17일 전남도청에서 전남생약농업협동조합, 도내 한약도매상, 전라남도한방산업진흥원, 전남 천연자원연구원, 도와 시군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친환경약용작물 생산확대 대책협의회』를 갖고 우선적으로 30ha규모의 특화단지 10개소(300ha)를 시범조성한 후 2014년까지 40개소를 추가 조성해 나가기로 하였다.

특화단지 조성을 위해 도내지역을 3대권역(내륙권역, 내륙산림권역, 해안권역)으로 나누어 내륙권역은 식용과 약용이 가능한 작물을 중심으로 집중육성하고, 내륙산림권역은 꽃이 피는 약용작물 위주로 특화하여 관광자원화하며, 해안권역은 항암 한약재 재배단지, 부인병치료 한약재 재배단지 등 테마가 있는 특화단지로 조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한, 화순 한약재유통센터를 우수한약재 유통거점으로 육성하고, 2013년 순천 국제정원박람회와 연계하여 내츄럴테라피 가든과 동의 보감 전시․홍보관 건립, 장흥 한방 복합테마공간 조성, 약용작물 수매자금 조성과 한의사협회 등과의 직거래사업 확대, 전남 친환경한약재 전문취급업소 지정제도 운영, 전남 대표브랜드 개발 등을 통해 차별화․ 고급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전남도에 따르면 친환경약용작물 생산확대 사업을 통해 새로운 농가소득원을 창출함은 물론 대체의학으로 각광받고 있는 한방의학과 한방 관광산업이 동반성장하는 기틀이 마련되어 5조원대의 국내 한약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전남도의 약용작물 재배면적은 1,424ha로 전국 재배면적의 8%(전국 생산량의 10%)를 차지하고 있는데 방풍, 산수유, 황금, 지황, 택사, 어성초, 결명자와 같은 작물은 전국 생산량 대비 40%이상의 높은 생산비중을 가지고 있다.

전라남도 친환경농업과 윤성호과장은 수리불안전답 등의 과감한 작목전환을 통해 쌀 수급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소비자가 신뢰하는 친환경 고품질의 국산 한약재 생산의 최대 거점으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jnnews.co.kr/news/view.php?idx=2478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  기사 이미지 곡성 곡성세계장미축제 개장
  •  기사 이미지 김이강 서구청장,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 참석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