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독자투고]내 차를 지켜주는 미니 소방관‘차량용 소화기’ - 여수소방서 여서119안전센터 소방사 강수봉
  • 기사등록 2023-03-06 08:36:26
기사수정

화재 진압의 골든타임을 모두 아시나요?


보통 5분 이내 화재 진압에 실패하면 연소가 급격히 확산해 피해 면적이 증가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5분 이내에 화재 진압을 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소방서에 신고하기’ 맞습니다. 하지만 기다리는 동안에 차량이 다 타버릴 수도 있으므로 차량에 미리 비치해둔 소화기를 사용해 초동 진압을 실시한다면 피해를 더욱더 줄일 수 있습니다.

  

운전 중 불이 나서 불을 꺼야 하는데 소화기가 없거나 사용 방법을 모른다면 당황하고 어려움이 있겠죠? 그러니 차량에 소화기를 비치해서 피해를 줄이시길 바랍니다.

차량용 소화기 종류와 소화기 사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차량용 소화기 종류에는 분말, 할로겐, 이산화탄소, 강화액, 폼 소화기가 있으며 보통은 분말이나 할로겐, 폼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분말의 경우엔 분말 형태의 소화 약재를 사용하며 사용했을 때 가압된 가스를 이용해서 미세한 분말을 분출하여 불을 끄는 원리입니다. 불을 끄는 능력이 탁월하고 크기도 다양한 장점이 있지만 분말이 엔진과 부품 등에 그대로 남아있게 되며 2차 오염을 유발하는 것이 단점입니다. 

 

할로겐은 소화력이 상당히 좋아서 적은 양으로도 불을 끌 수 있으며 차체에 전혀 손상되는 게 없습니다. 다만, 제품에 따라서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이 포함되어있어 생산 규제로 구하기가 힘들 수 있고 가격도 비싼 편입니다. 

 

폼은 거품 형태로 분사되며 질식 작용으로 불을 끕니다. 보통 경주용 차에 주로 사용하며 거품이 산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해주므로 소화 성능이 매우 좋습니다. 할로겐과 마찬가지로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차량용 소화기의 위치는 운전자나 동승자가 쉽게 손에 닿는 위치에 비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차량용은 표면에 자동차 겸용이라는 표시가 되어있는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관리 방법은 한 달에 한 번 정도 압력게 바늘이 중앙 초록색에 위치하는지 확인하고 소화기를 흔들어 분말 등이 굳지 않게 해주며 유효기간을 표시하여 관리하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소화기 사용 방법은 불이 난 장소로 가까이 가서 소화기 안전핀을 뽑습니다. 불이 난 방향으로 소화기 호스 노즐을 잡고 손잡이를 힘껏 움켜쥔 다음 빗자루로 쓸 듯이 뿌립니다. 바람을 등지고 앞에서부터 꺼야 합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jnnews.co.kr/news/view.php?idx=34586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서구, 골목정원 가꾸기로 ‘함께서구’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  기사 이미지 곡성 곡성세계장미축제 개장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