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독자기고] 조그만 바꾸면 행복은 늘어납니다 - 도선국사 마을 홍보위원
  • 기사등록 2010-05-10 16:13:47
기사수정
 
행복이 오는 속도를 알고 계십니까?

우리 모두가 바라고 간절히 원하는 성공과 행복의 속도는 다섯 살 어린아이가 아장 아장 걸어가는 속도와 같다고 합니다. 그런데 글을 쓰는 저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은 성공과 행복을 너무 빨리 너무 많이 원하는데서 실망과 좌절이 커질지 모른다고 저는 생각 합니다.

우리 농업, 농촌 뿐 아니라 세상사 모든 일이 어렵지 않고 힘들지 않은것 하나가 없습니다. 농업도, 사업도, 직장생활도 그것을 통해 생활을 영위하고 자식들 공부 시키고 노후를 준비하는데 있어서 쉬운 일은 없습니다. 무엇이 되었든 자신의 일에 전력투구하고 전심전력을 다하지 않으면 뒤쳐지는 것은 물론 생존의 위협을 바로 느끼는 것이 오늘의 현실입니다.

우리는 발전과 성취를 위해 우리가 처한 현실을 냉철하게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면밀한 계획을 세워 총력을 다해 그 일에 매진해야 비로소 행복의 문을 열수 있다고 저는 믿습니다.

저는 농촌전통테마마을인 도선국사마을을 가꾸어 나가는데 홍보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농촌전통테마마을이 도농교류의 장으로, 푸른농촌 희망찾기 우수마을로 선정되기까지의 몇가지 요인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 성공을 위한 습관 = 자기개발 = 의식함양
사람의 의식은 행동으로 표현 됩니다. 그 행동이 모여 습관이 되고 습관이 곧 운명을 결정합니다. 우리 도선국사 마을은 천혜의 좋은 자원과 인적구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것은 발견하지 못하고 오랜 세월 낙후 된 곳으로 방치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농촌진흥청의 전통테마마을 개발과 관내 의식 있는 공무원들의 노력으로 근 10년 만에 가장 잘사는 마을이 되었고 연인원 3만 명 이상이 항상 찾아오는 유명한 마을이 되었습니다.

이런 결과는 마을을 이끌어 가는 신승균 위원장님을 비롯한 지도자들의 솔선수범과 각자 맡고 있는 역할에 온 정열을 기울이는 전문가들의 꾸준한 자기 개발에 힘입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담당 공무원들의 헌신적인 참여와 지도 덕분이라고 믿습니다.

손두부 체험과 파전, 산채정식, 도자기체험, 천연염색, 짚풀공예, 도선선차 체험과 동양화그리기, 고로쇠된장과 옥룡사지 동백꽃, 휴양림과 황톳길걷기, 생태숲과 야생화이야기, 사또 약수와 숲 치유의 길 등 각자 맡은 바에 최선을 다하고 어려울 때 서로 돕는 성공의 습관!
조금만, 10분만 빨리 일어나 말없이 자기 집 앞을 쓰는 이 작은 습관 이것이 자신을 그리고 마을 살리는 길이라고 우리는 믿습니다.

2. 성공이 조건 = 지도자의 리더쉽
한그루 나무가 꽃이 피고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긴 세월이 필요합니다.
그 세월 속에 딛고 일어서야 할 몇 가지 과정이 있습니다.
실패도 해보고 병마와 싸워 보기도 하고 그리고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 배신도 당해보고 그렇게 우리는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연륜이 쌓아져 갑니다.

그때 마다 우리는 가장 힘든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겨야 합니다. 실패와 좌절의 원인을 밖에서 찾는다면 참다운 발전을 이루어 낼 수 없습니다.
마을 공동사업을 하다보면 많은 오해와 불신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기사업을 위해 마을일을 열심히 한다네"
갖가지 유언비어와 곡해 속에서도 자신이 사랑하는 마을과 고장을 위해 꿋꿋히 일해 나가는 도덕적 용기와 신념이 필요합니다.

마을에 사업을 유치해서 5년. 1,825일. 43,800시간을 잘 견디어 내면 드디어 마을은 성공의 길에 접어들 수 있습니다.
지금 몇 시간 참고 견디었습니까?
조금만 조금만 더 참고 함께 길을 열어 갑시다.

3. 성공의 의미 = 마을의 성공 = 나의 성공
참된 성공은 무엇일까요?
주어진 목표를 완수하고 마음이 풍요로운 상태를 저는 행복이라고 믿습니다. 이 행복은 함께 이루어 나갈 때 더 큰 의미와 가치를 갖습니다. 내가 행복해 지기위해 우리 마을을 먼저 잘살게 만드는 행복의 원리, 이 원리는 지금까지 변함없이 이어져 왔습니다.

우리 마을은 서로 격려하고 서로 잘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손 두부가 많이 팔려야 될 텐데" "도라지가 많이 팔려야 될 텐데"
된장 장사인 저는 저의 된장보다 마을 특산물이 잘 팔리기를 더욱 소원 합니다. 마을이 잘 되면 우리 집도 더불어 잘된다는 지혜를 저는 잘 알고 있습니다. 새벽 5시에 일어나 푸른농촌에서 희망을 찾는 일을 준비합니다. 저희 마을도 오늘 최선을 다해 손님을 맞이하겠습니다. 여러분의 마을에도 가정에도 행운과 성공이 가득하시길 빕니다. 감사합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jnnews.co.kr/news/view.php?idx=3689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  기사 이미지 곡성 곡성세계장미축제 개장
  •  기사 이미지 김이강 서구청장,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 참석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