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전남도 타르피해 극복과정 책으로 - 방제상황.피해대책 수립.주요 조치사항 등 수록
  • 기사등록 2009-04-21 13:23:05
기사수정
전라남도가 지난해 12월 충남 태안앞바다 기름유출사고 발생과 관련해 타르 피해 극복 과정을 두권의 책으로 엮어 발간했다.

‘타르유입 피해 및 대책 추진’과 ‘신문보도를 통해서 본 타르피해’라는 제목으로 발간된 두권의 책에는 타르 피해 및 방제상황, 해양오염 피해대책 수립 및 추진사항, 주요 조치사항 및 앞으로 추진사항 등이 자세히 수록돼 있다.

또 피해보상 관련 질의문답집, 재해구호사업 지침, 유류오염 손해배상 관련 국내외 판례 소개 등도 담고 있어 향후 유사사례 발생시 관계공무원들의 실무자료 활용과 기록관리에도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해안 및 수산피해 등의 보상추진 과정에서도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꾸몄다.

또한 타르피해 관련 신문보도 내용을 전체적으로 묶어 언론인의 시각에서 그 피해 및 대처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일선 공무원들의 업무추진에 크게 활용토록 했다.

지난해 연말부터 전남도 서해안으로 유입된 타르는 해안 118㎞, 수산양식장 2만2천261ha에 걸쳐 많은 피해가 발생, 2월 말 현재까지 자원봉사자, 지역주민, 공무원 등 9만여명이 봉사활동에 나서 타르덩어리 1천560톤을 수거했다.

전남도에서는 타르 피해복구를 위해 수립한 재난복구계획에 갯벌 및 도서해안 오염 복구, 해수욕장 복원, 해양오염 영향조사, 폐기물 처리 등 공공시설과 수산피해 복구 그리고 현재까지는 피해가 발생되지 않았으나 앞으로 예상될 수 있는 염전 등 사유시설을 포함시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제출했다.

특히 타르 피해 배상 및 복구지원 TF팀을 구성, 앞으로 전담인력이 대폭 보강될 것으로 보여 보다 전문적인 피해보상 등의 업무가 추진될 예정이다.

또 최근 국회에서 ‘유류오염사고 관련 주민지원 등 특별법안’이 제정됨에 따라 타르 피해지역의 갯벌생태와 주민에 대한 장기적인 지원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 전남 서해안 청정환경에서 생산된 수산물 소비가 예전처럼 활발히 되살아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최강수 전남도 해양항만과장은 “해상 예찰활동에 예비비를 우선 투입하고 피해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도록 하는 한편 생계안정지원금을 설 이전에 지급될 수 있도록 국고 송금 이전에 예비비를 배정한 것 등이 기억에 남는다”며 “다만 주민들간 이해관계로 인해 생계안정지원금 지급이 지연됐던 것은 아쉬웠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jnnews.co.kr/news/view.php?idx=476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  기사 이미지 곡성 곡성세계장미축제 개장
  •  기사 이미지 김이강 서구청장,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 참석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