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90% 이상 가축을 살처분하며... 위기를 기회로!! 꿈과 희망을 - 포천시 이동면사무소
  • 기사등록 2011-01-25 17:33:50
기사수정
갑작스럽게 몰아닥친 매서운 동장군으로 한강이 꽁꽁 얼어붙은 가운데 2011년 신묘년(辛卯年) 새해는 전 직원이 사무실에서 밤샘하며 구제역과의 사투로 시작됐다.

구제역 파동으로 우리나라 축산업계의 근간이 흔들리는 지금, 모든 국민의 눈과 귀가 연일 매스컴에 모아지고 있는 가운데 중앙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구제역특별대책상황실을 운영하는 등 구제역 방역에 사력을 다하고 있다.

작년 11월 28일 경북 안동에서 구제역이 처음 발생한 이래 급속한 속도로 전국으로 확산되어 포천시에서는 작년 12월 23일 일동면 사직리를 시작으로 구제역이 발병한 이래 급속한 속도로 창궐(猖獗)해 현재까지 포천시 200여 농가의 가축 25만여 두의 살처분 작업이 이뤄졌다.

국가적 재난 상황으로까지 일컬어지는 이번 구제역 사태와 관련 지금까지 포천시 900여 공직자들은 공휴일을 반납한 채 밤낮없이 가축 살처분 현장과 구제역방역초소에서 영하 20도를 오르내리는 강추위에 맞서 구제역 종식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구제역 발생 농가를 찾아 가축 살처분을 설득하고 축산농가의 아픔을 위로하기 위해 찾은 현장에선 막상 살처분을 하려니 생계 수단을 잃게 된 축산농민들의 반발과 매몰지 확보에 애로가 있어 작업이 지연되기 일쑤였다.

그동안 자식같이 돌본 가축을 살처분해야 된다는 현실에 절규하는 축산농민들의 눈가에선 눈물이 맺혔고, 이를 지켜보는 우리의 마음도 편치 않았다.

하루아침에 생활 터전을 잃은 축산농민의 아픔을 위로하고 영문도 모른 채 죽어야 하는 가축들의 영혼을 애도하기 위해 위령제를 지내며 아픔을 나눴고, 살처분 및 방역초소 현장에 나가 구제역 차단 방역을 위해 사력을 다하는 공무원과 군인, 자원봉사자들을 격려했다.

하루빨리 구제역이 종식되어 예전의 청정지역으로 되돌아 올 수 있도록 노력했지만 구제역이 빠른 속도로 창궐(猖獗)할 때마다 인력으로는 어찌할 수 없다는 생각에 왠지 모를 자괴감에 빠져들게 되었고, 축산농가에 도움을 주지 못했다는 생각과 안쓰러움에 가슴이 아파 마음 편히 눈을 붙일 수가 없었다.

다행히 살처분을 빗겨간 다른 축산 농가들의 고통도 이만저만 한 게 아니었다. 가축 이동제한으로 인해 출하가 금지된 농가에선 번식하는 가축으로 인해 사육하는 축사가 비좁아 더 이상 가둘 공간이 부족했고, 가축 분뇨는 밖으로 반출하지 못해 배출시설을 넘쳐흘렀고, 사료 값 급등으로 인해 가축에게 먹일 사료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런 총체적 비상사태 속에서도 한 줄기의 희망이 보이기 시작했다. 기관.단체를 비롯한 지역 주민들은 자발적으로 구제역 방역 현장을 방문해 손수 만든 음식을 제공하는 등 컵라면, 빵, 음료수 등 위문품을 전달하며 위로 격려하는 등 온정의 손길이 이어지면서 축산농가의 아픔과 구제역방역근무에 지친 근무자들의 마음과 추위를 녹였다.

강추위에 맞서 30일째 지속된 밤샘근무에 몸과 마음이 지쳐있던 상황에서, 구제역 종식을 위해 민?관?군이 합심하여 노력한다는 사실에, 나 혼자가 아닌 모두가 함께 한다는 생각에 마음을 다잡아 조금만 더 힘을 내자는 다짐을 다시 한 번 하게 되었다.

그동안 우리 이동면은 15개 초소를 운영하면서 이동면이장협의회, 남자새마을지도자협의회, 새마을부녀회, 자율방범대, 의용소방대, 백운계곡관광지부, 환경지킴이연합 등 11개 단체에서 매일 밤낮 교대 근무를 해가며 한달째 자원봉사를 하고 있다. 지역 주민 및 기관.단체 여러분들의 노고에 지면을 빌어 고마움과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

지난 2010년도를 돌이켜보면 참으로 다사다난했던 한 해였다. ‘서해안 천안함 사건’ 및 북한의 만행으로 일어난 ‘북 연평도 포격 사건’은 한반도 정세를 일촉즉발의 위기상태로까지 몰아갔고, 작년 11월28일 경북 안동에서 발병한 구제역은 시나브로 전국으로 확산되어 작게는 축산농가의 생활터전을 송두리째 앗아갔고, 크게는 나라의 뿌리이자 근간인 축산산업을 흔들고 있다.

올해엔 유례없이 맹위를 떨치고 있는 동장군과 언제 종식될지 끝을 알 수 없이 창궐(猖獗) 중인 구제역으로 인해 인구이동이 제한되고 가축시장 폐쇄가 장기화 되면서 이동갈비촌과 백운계곡 관광지로 유명한 이동면 지역경제에도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

앞으로 경험 많은 축산농가와 축산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구제역을 먼저 겪은 다른 나라들의 구제역 대처 사례를 축산정책에 반영하여 앞으로는 눈뜨고는 볼 수 없는 가축의 살처분이 되풀이 되지 않도록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축산정책이 추진되길 기대해본다.

신묘년(辛卯年) 새해의 시작과 함께 찾아온 국가 내?외적인 비상상황에서 “위기를 기회로 삼아, 지역 주민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다가가는 행정”이 될 수 있도록 나부터 철저마침(鐵杵磨針)하여 구제역을 슬기롭게 이겨 냈으면 하는 바람이다.

아울러, 지역 주민 모두에게 “꿈은 이루어집니다. 희망을 가지십시오”라는 이동면의 슬로건을 당당히 말 할 수 있는 밝은 날이 하루 빨리 오길 기원한다.

마지막으로 하루 빨리 구제역이 종식되길 염원하며 다가오는 설전까지는 구제역으로 아픔을 겪은 축산농민들도, 공무원들도 그리고 지역주민들도 모두 행복한 명절을 맞게 되길 희망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jnnews.co.kr/news/view.php?idx=4816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강진 보랏빛 코끼리마늘꽃 세상 놀러오세요
  •  기사 이미지 ‘2024 부산모빌리티쇼’ 부산국제모터쇼의 새로운 시작이 되다.
  •  기사 이미지 서구 오연호 오마이뉴스 대표 초청 아카데미
가수 전가연 메인센터 2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