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예상수명과 퇴직연령 사이 시간차 24.7년
  • 기사등록 2012-07-26 13:25:06
기사수정
- 은퇴 후 생활비 충당 방법? ‘저축해 놓은 돈’ - 자식한테 의지하겠다는 의견은 극소수

[전남인터넷신문]직장인들이 스스로 진단한 예상수명과 퇴직연령 사이에는 24년이라는 격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는 최근 전국 남녀 직장인398명을 대상으로 <예상 수명과 노후준비>에 관한 주제를 가지고 설문을 실시한 결과 밝혀진 사실이다.

설문 참가자들에게 스스로 진단하는 예상수명과 퇴직연령이 몇 세 인지 개방형으로 질문했다. 그 결과, △평균 예상수명은 81.3세 △퇴직연령은56.6세로 은퇴연령과 예상수명 사이에는 24.7년이라는 간격이 발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직장인이 응답한 예상수명과 퇴직연령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남성은 본인의 예상수명을 79세로 진단했고, 여성은 4년 더 많은 83.6세로 답했다. 예상 퇴직연령은 남성은 58.6세, 여성은 54.4세로 답해 일을 그만둔 후 예상수명까지 남성은 20.4년, 여성은 29.2년의 시간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렇다면 은퇴 후, 20여년의 시간동안 직장인들의 생활비 및 의료비 등 경제적인 부분을 무엇으로 충당하려고 계획하고 있을까?

질문결과(*복수응답), △저축해 놓은 돈으로 쓰겠다가 응답률 54.8%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국민연금(45.5%) △개인연금 및 보험금(44.7%) 순이었다.

한편, △아직 생각해 본 적 없다고 답한 응답자도 23.9%로 비교적 많았고, 반면△자식들에게 의지하겠다는 의견은 응답률 3.8%로 극히 적었다.

이 외에도 △아르바이트 등 일을 해서 충당(19.1%) △정부 보조금(7.3%) 등의 답변이 있었다.

한편, 잡코리아는 이번 설문에서 ‘노년의 정의’에 대해서도 조사를 실시했다.

설문 참가자들에게 노년의 시작이 몇 세 부터라고 생각하는지 개방형으로 조사한 결과, △20대 직장인들은 60.0세 △30대는 63.6세△40대 이상은 66.9세라고 답해 연령이 높을수록 ‘노년의 시작 연령’을 높게 보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노년의 정의(*복수응답)에 관한 질문에서는 성별에 따라 다른 의견을 보였다.

남성들은 ‘회사에서 퇴직하고 일을 할 수 없게 되는 시점이 노년의 시기(42.6%)’라고 답한 사람이 가장 많은 반면, 여성들은‘60세 등 특정 나이가 되면 노년으로 구분(51.5%)’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이 외에도 남녀 직장인들은 △주변에서 할머니 할아버지 소리 들을 때(28.1%) △허리와 무릎 등 신체 이곳저곳이 아프기 시작할 때(16.1%)△흰머리와 주름살이 생기면(7.8%)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최신 기기 사용에 익숙하지 못할 때(6.5%) 노년이 시작된다고 답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jnnews.co.kr/news/view.php?idx=8082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서구, 골목정원 가꾸기로 ‘함께서구’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  기사 이미지 곡성 곡성세계장미축제 개장
보성신문 메인 왼쪽 3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