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담양 '대숲맑은쌀' 품질 들쭉날쭉 신뢰성 문제 의혹 - 군 농정 주무 과장 스스로 인정
  • 기사등록 2013-01-14 18:26:55
기사수정
 
담양군 고윤 친환경농산유통과장은 '전남 10대 고품질 브랜드쌀' 평가에서 1위를 차지했던 담양군의 '대숲맑은쌀'이 이번 전국단위 평가에서 '고품질 브랜드쌀'에 선정되지 못하고 탈락한 것에 대해 "도정 공장 시설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시스템이 안정되지 못했다"며 쌀 품질에 대해 도정공장 시스템 탓으로 돌리는 이해되지 않는 변명에 이어 "사실 품질이 들쭉날쭉 하다"라고 밝힌바 있다.

이 같은 고 과장의 말은 전남 대표 브랜드 1위 쌀인 '대숲맑은쌀'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다는 것을 군 농정의 주무 과장이 스스로 인정하는 것으로, 전남도의 '고품질 브랜드쌀'에 대한 이미지와 평가에 대한 신뢰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여지는 부분이다. 이 같은 사실은 또 담양군의 자랑인 전남 1위 대표쌀 '대숲맑은쌀'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에 심각한 의혹이 제기될 수 있는 부분이다.

이에 본지에서는 지난 호에 이어 전국 19위권에도 들지 못한 원인을 취재해 '지상 중계'한다. 담양군의 농정에 대한 실상을 지역민들과 독자들에게 알려야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할 때 향 후 이 같은 엉터리 농정이 되풀이 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취재 내용에 대한 평가는 독자들이 하시길 바란다.

[취재 기록]
기자 : 지난 해 4월에 전남도에서 평가를 할 때는 당당히 1위를 차지했다. 언론에 대대적으로 홍보를 하고 마케팅에 도움이 됐을 거라 생각하는데, 이번에 도에 확인을 해보니까 8개 브랜드를 추천 했더라. 그 중에 당연히 1위인 '대숲맑은쌀'이 첫 번째로 추천됐는데, 그 8개 브랜드 중에서 5개 브랜드가 수상했더라. 그런데 전남 1위인 '대숲맑은쌀'이 탈락했어요. 그 이유가 과장 말씀처럼 '품질이 들쭉날쭉 하다'. 품질이 균일해야 평가가 정확하고 제대로 됐다고 볼 수 있는데...

고 : 과정을 이렇게 보시면 될 겁니다. 작년 말에 도정 시설을 전면 교체를 했어요. 4월달 까지 실험을 하다보니까 시스템에 쌀이 좋게 나올 때도 있고, 나쁘게 나올 때도 있고, 그랬는 모양이에요. 그래가지고 그때 도에 올라 갈 때는, 도에서 샘플링 할 때는 좀 좋았는데, 그 뒤에 농림부에서 6월 달에 가져갔나, 그때 가져 갈 때, 소비자 단체에서 수거해 갈 때는 쌀이 좀 나빴던 모양이에요. 그래가지고 결과를 받아보니까 금년 2012년 쌀은 좋게 나왔어요. 2011년도의 쌀 가지고 6월 달에 해 놓은 것이 좀 좋지 않아 가지고 평가가 그렇게 나온 것 같아요. 그간에 지금은 쌀이 안정이 됐죠. 도정 시스템에, 도정 시스템을 가동하는 과정에서 정착이 안돼 가지고 좀 그런 부분이 있었어요.

기자 : 고 과장 말씀은 도정 시스템 문제다?

고 : 그렇죠. 새로 도정 기계를 놨어요.

기자 : 그것은 재 작년 말 아니겠습니까?

고 : 작년이 지났으니 말하자면 재 작년 말이죠.

기자 : 재 작년 말에 그 시스템을 새로 설치한 이후로 그때 수거한 '대숲맑은쌀'은 전남도에서 그때 당시에...

고 : 가동을 하면서 도정이 덜됐다고 봐야죠. 또 좋았다가, 그 뒤에 농식품부에서 수거할 때는 좀 나빴다가, 또 이번에 작년 말에 가져간 것은 아주 좋아요 또. 도정 시스템이 교체를 하면서 작년 봄에 한 6개월 동안...

기자 : 제가 봤을 때는(웃음) 고 과장 말씀이신 것 같고. 시스템상의 문제라는 것은 그것이 좀 핑계가 안되는 것 같은데...

고 : 그거 있고요... 그 결과치가 그렇게 나타났어요. 한 번 쌀 가져간 것이 안좋았어요. 쌀 수거해 간 것이...

기자 : 품질이 균일해야 제대로 된 쌀 브랜드라고 볼 수 있지, 도정 시스템에서 품질을 좌지우지 한다? 그것은...

고 : 도정 시스템을 인제 설치를 했기 때문에 안정성이 안됐다고 봐야죠.

기자 : 도에서 평가를 할 때 4개 기관에서 했잖아요? 전문기관이 참여를 해서 했는데, 그때 당시에는 '대숲맑은쌀', 이 제품을 군에서 제출했었나요? 아니면 도에서...

고 : 도에서 임의로 가져갔겠죠.

기자 : 제보에 의하면 그게 아니었는데, 솔직히 말씀해 주시죠?

고 : 그것을 도에서 한 것을 여기서 어떻게, 뭣을 어떻게 한다는 말입니까. 각 시중에 우리가 어디어디서 판다고 하면 도에서 수거를 해가는 것이죠.

기자 : 쌀을 품질이 좋은 쌀로 평가를 받기 위해서 혹시 쌀을 고르거나 그러지는 않았어요?

고 : 아이고, 그런 일까지 RPC에서 하겠습니까?

기자 : RPC에서 한 것이 아니라, 군에서 했다고...

고 : 군에서 할 일 없이 그것을 하고 있겠어요?

기자 : 나도 이해가 안되는 소린데, 그런 말이 들리니까 그런 것 아닙니까?

고 : 누가 그 많은 쌀을 골르고 있겠어요...

기자는 전남도에서 평가를 위한 각 브랜드별 제품 수거하는 방법에 대해 취재했다. 전남도에서는 블라인드 방식으로 각 시군에 판매처 10여 곳을 파악한 후, 담당 직원들이 무작위로 판매처를 방문해서, 식품유통과의 일상 경비로 10kg 씩을 구입했다. 매입 전표에는 거의 많은 제품들의 제품명이 명시돼 있었다.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4분 간격으로 구입한 나주시의 '왕건이탐낸쌀'은 분명히 제품명이 명시돼있는 매입전표였다. 하지만, 담양의 '대숲맑은쌀' 매입전표에는 사진과 같이 수기로 제품명이 쓰여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기자도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이다.[뉴스투데이한국·담양신문·전남인터넷신문·한국타임즈·호남뉴스24 공동취재]/김동국 기자 정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jnnews.co.kr/news/view.php?idx=9222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서구, 골목정원 가꾸기로 ‘함께서구’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  기사 이미지 곡성 곡성세계장미축제 개장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