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빛으로 칼슘 농도 조절하고 기억력 높여 - ‘광(光)리모콘’으로 세포막에 있는 칼슘채널 개방, 세포 내 칼슘유입 현…
  • 기사등록 2015-09-16 16:33:44
기사수정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기초과학연구원(원장 김두철, 이하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단장 신희섭)의 허원도 그룹리더 연구팀이 빛으로 살아있는 생체 내 칼슘이온 농도를 조절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IBS 연구단은 `광(光)리모콘’으로 세포막에 있는 칼슘이온 통로인 칼슘채널을 여닫을 수 있고, 효율성도 세계 최고 수준임을 확인했다.

 

특히 이 같은 기술이 적용된 쥐의 뇌에 빛을 쬐어 칼슘채널 개방을 유도, 쥐의 기억력을 2배 높이는 데 성공했다.

 


칼슘이온은 세포성장은 물론 신경전달이나 근육수축 등 거의 모든 생명현상에 관여한다. 때문에 세포 내 칼슘이온이 부족해지면 인지장애, 운동실조(ataxia), 심장부정맥 등 다양한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연구진은 세포에 빛을 쬐어 칼슘채널의 개방을 유도, 기존방법 보다 5~10배 많은 칼슘이온을 세포 안으로 유입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로써 빛을 쬐는 비침습적(non-invasive) 방식으로 약물이나 전기 자극을 대신해 칼슘이온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실마리를 제공했다.

 

또, 대량의 화합물 중 칼슘이온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찾아내는 신약후보물질 발굴 플랫폼으로도 쓰일 수 있다.

 

연구진은 빛의 강도와 노출시간에 따라 칼슘이온의 유입양과 잔류시간을 조절하는 한편 빛을 차단해 양방향 조절이 가능토록 했다.

 

청색 빛을 흡수하면 무리를 이루는 식물의 광수용단백질에 칼슘채널을 활성화하는 동물(인간)의 조절단백질을 결합시켜 청색 빛에 의해 칼슘채널이 열리도록 설계했다.

 

설계된 융합단백질을 가진 쥐에 청색 빛을 쬐어주자 뇌로 유입된 칼슘이온에 의해 신경전달이 활성화되면서 기억력이 2배 강화됐다.

 

전기충격 같은 자극이 있었던 상황(공간)에 대한 두려움이 빛에 노출되지 않은 쥐에 비해 오래 지속된 것이다.

 

제브라피쉬(생물학에서 대표적으로 이용되는 열대어 모델), 줄기세포 등에서도 빛에 의한 칼슘이온 유입이 나타나 이 기술이 다양한 곳에 사용될 수 있음을 뒷받침했다.

 

허원도 그룹리더는 “세계 최초로 살아있는 생체 내에서 칼슘이온 채널을 빛으로 제어한 것으로 적외선이나 소형화한 광원을 이용한 칼슘이온 대사질환 치료법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허원도 그룹리더 연구팀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한용만, 김대수 교수 연구팀이 함께 수행한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Nature Biotechnology, IF 41.51)誌(지) 온라인에 9월 15일 게재되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jnnews.co.kr/news/view.php?idx=14927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서구, 골목정원 가꾸기로 ‘함께서구’
  •  기사 이미지 보성군 차(茶)향 물씬 풍기는 초록빛 수채화 풍경
  •  기사 이미지 곡성 곡성세계장미축제 개장
보성신문 메인 왼쪽 3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