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룡 jnnews.co.kr@hanmail.net
씨큐비스타 제공[전남인터넷신문]씨큐비스타가 위협기술 정보를 자동으로 분석해 탐지프로세스를 자동 생성해 주는 생성형 AI 기반 TTP 자동화 엔진을 개발하는데 성공해, 최신 위협에 대응한 보안 탐지모듈 개발 기간을 90% 이상 단축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이버 위협헌팅 보안기업 '씨큐비스타'(대표 전덕조)가 생성형 AI기술과 위협 인텔리전스를 결합, 최신 사이버 위협보고서를 자동으로 분석해 공격자 해킹전략과 강력한 탐지프로세스를 생성하는 생성형 AI 기반 네트워크 기반 TTP 생성 자동화 엔진 '센티널 AI'(Sentinel AI)를 상용화시키는데 성공, 자사의 네트워크 위협헌팅 보안솔루션 '패킷사이버'에 적용했다고 24일 밝혔다.
기존에는 보안담당자가 하나의 최신 해킹보고서를 분석, 행위 탐지모듈을 개발하는데 평균 10일이 소요돼 심각한 보안공백이 불가피했다. '센티널 AI 엔진'은 국내 최초로 수작업 기반의 공격자 해킹전략(TTP) 분석 및 행위탐지 프로세스를 자동화시켜 위협 탐지부터 대응 정책 실행까지 자동으로 이어지는 'LLM 기반 위협헌팅 체계'를 구현한 것이다.
'센티널 AI'는 △최신 APT 보고서, △침투보고서 등의 해킹자료를 등록하면 공격 TTP(전술·기술·절차)를 자동 분석하며, MITRE ATT&CK 기반 TTP는 물론, 프레임워크에 정의되지 않은 항목까지 Custom TTP·TID로 자동 생성하고, 이를 고성능 행위 탐지모듈로 자동 개발해 주는게 특징이다.
탐지 및 대응 속도도 획기적으로 단축됐다. 자동 생성된 TTP는 패킷사이버의 고성능 트래픽 처리 엔진 기반 행위 탐지 모듈과 고속 병렬처리 DB 기반 SQL 탐지 쿼리로 자동 생성되며, Custom TID 기반 TTP 카탈로그 자동 구축 및 관리도 가능해져, 탐지부터 대응까지의 전환 시간을 최소화하고, 전 과정을 자동화해 방어 역량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됐다.
씨큐비스타는 자사의 '패킷사이버'에 TTP 생성 자동화 엔진 '센티널AI'를 적용한 결과, 공격 시나리오 자동 분석 모듈을 통해 국가별·조직별 C2 통신 방식, Beaconing 패턴 분석, 시나리오별 실시간 탐지모듈 자동 구성 등 고도화된 분석데이터를 제공하며, 무엇보다 위협 분석 및 대응 탐지모듈 개발기간을 90% 이상 크게 단축했다고 밝혔다. 전문 보안인력이 수작업으로 개발할 경우 종종 발생하는 설계 오류와 실수를 촘촘히 걸러낼 수 있어 위협탐지 성공율도 크게 개선됐다.
보안업계에 따르면 2024년 국내 해킹침해신고가 1,887건(전년대비 48% 증가) 접수됐다. 같은 기간 전세계 랜섬웨어 공격은 공개된 것만 5,650건(전년대비 12.8% 증가)에 달한다. 보안전문가들은 실제로는 이보다 수십배 많은 공격이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따라 보안업체들이 실시간 공유하는 보안기술리포트도 매년 급증하고 있으며, 이를 수작업으로 분석하고 탐지모듈을 개발하기 위해 국내외 보안기업들이 수많은 개발인력을 풀가동하고 있는 실정이다.
씨큐비스타는 신기술 '센티넬AI'가 추후 보안제품 연계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도 전환 가능해, 이를 토대로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중장기 확장 계획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공공기관 및 금융권을 대상으로 구독형 네트워크 TTP 탐지·헌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로 트러스트 정책 수립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기반 TTP 기반 위협 탐지 자동화도 지원할 계획이다.
전덕조 씨큐비스타 대표는 "전세계에서 탐지된 최신 위협헌팅 정보와 탐지보고서가 입수되는 즉시 탐지모듈을 생성할 수 있게 TTP분석 대응시간이 90% 이상 단축돼, 패킷사이버의 보안방어력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씨큐비스타 '센티널AI' 엔진은 '해킹3.0' 시대를 지켜낼 보안 인텔리전스 주역으로, 네트워크 위협 헌팅 솔루션의 패러다임을 새롭게 바꿔놓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씨큐비스타(CQVista)는 지능형 위협 탐지·대응 기술을 중심으로 NDR·FDR 원천기술을 융합한 독자 기술을 보유한 사이버 보안 전문기업이다. 주력 보안솔루션인 '패킷사이버'는 한국과 아시아의 공공기관과 금융기관, 국가기관 등에 채택돼 최고 보안솔루션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NDR 유형으로는 국내 최초로 보안기능확인서 인증을 획득했다. 최근 IoT 보안 및 암호화 트래픽 위협 탐지 기술로 사업 확대중이며, 정부 R&D 프로젝트에 참여해 AI기반 위협헌팅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