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인터넷신문]농촌 인구의 감소로 외국인 근로자들의 힘을 빌리지 않으면 안 되는 곳들이 크게 늘어났다. 이에 따라 농업에 종사하는 숙달된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농가 고령화와 농촌 인구감소에 따른 일손 부족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대책을 세우는 지방자치단체가 늘어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가 농업·농촌의 고질적인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외국인 근로자의 장기 체류 추진, 계절근로자 유치·관리, 해외 지자체와 업무협약(MOU)을 체결에 의해 특정 국가의 인력 유입 등 계절근로자 유치·관리 담당 등 다양한 대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패한 사례도 적지 않다.
실패 사례 중의 대표적인 것은 인력의 숫자에 집중한 경우가 많다. 현재 농촌 외국인 근로자의 출신 국가를 보면 베트남, 태국, 러시아, 필리핀 등 다양하다. 이들은 출신 국가 그리고 도시 출신과 농촌 출신에 따라 문화와 일에 대처하는 경향에 차이가 있는데, 이를 무시하고 숫자 채우기에만 급급해 농촌 일손 부족 해결에 도움이 크게 안되는 경우도 많다.
지난 3월 5일 방문했던 나주의 농촌 외국인 근로자 알선소에는 한낮인데도 일자리를 얻지 못한 근로자들이 몇 분이 있었다. 그래서 알선소 대표에게 그 연유를 질문해 보니 알선소에서 일방적으로 농장으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측에서 외국인 근로자를 지정해서 일을 시키기 때문에 사용 업종과 사용자 측에서 수요가 없는 사람들이 근로자 알선소에서 대기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근로자들은 크게 출신 국가에 따라 일의 내용이나 방법에 차이가 있다고 했다. 가령, 러시아 출신 근로자의 경우 가벼운 것을 옮기거나 섬세한 것 보다는 산림에 표고버섯용 목재의 운반 등에는 탁월한 능력이 있다고 했다.
태국 근로자의 경우 최근 농촌 출신들이 많이 오는데 이들은 채소 관리, 수확 등 섬세한 작업에 대한 적응력이 빠르고 일도 잘해 농가들의 수요가 많다고 했다. 그러다 보니 외국인 근로자들도 출신국에 따라 업종별 일하고 있는 사람들의 분포도가 다르다고 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서 농촌 일손 부족 해결을 위해 외국인 농촌 근로자의 인력 유입 등을 위해 교섭하거나 추진할 때는 지역의 농작물 품목이나 고용처의 일 내용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인건비가 저렴한 나라의 사람들만 유입시키는 것은 실패로 연결되기 쉽고, 실제로 그러한 사례가 다수 있는 실정이다.
농촌외국인 근로자의 유입과 장기 체류 등 행정적인 절차나 방안은 지자체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으나 외국인 농촌 근로자가 적성에 맞고, 일의 생산성을 높이려면 현장에 있는 사람들의 경험을 조사하고, 목소리들 듣고, 시행착오가 없도록 각각의 특성에 맞게 세심한 대응을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