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공공산후조리원 조감도 [연합뉴스][전남인터넷신문]개원을 앞둔 전북 남원시의 공공산후조리원이 운영비 부족으로 파행 운영이 우려된다.
7일 남원시에 따르면 전북 동부권과 전남·경남의 지리산권 산모들을 위한 남원 공공산후조리원이 오는 10월 개원할 예정이다.
116억원이 투입돼 남원의료원 인근의 3천700㎡ 부지에 지하 1층∼지상 4층, 전체 건물 면적 2천410㎡ 규모로 건립되고 있다.
조리원은 그러나 개원도 하기 전에 운영비 문제로 좌초 위기를 맞고 있다.
연간 14억원의 운영비가 필요하지만 실제 확보된 것은 전북도가 분담하기로 한 4억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남원시는 조리원의 공공성을 고려해 정부가 운영비의 50%를 지원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조리원이 남원시뿐만 아니라 장수·순창·임실군 등 전북 동부권은 물론 전남 구례·곡성, 경남 산청·함양·하동의 산모까지를 포괄하는 시설이기 때문이다.
이들 9개 시·군에는 현재 공공 산후조리원이 하나도 없어 산모들은 남원 공공산후조리원을 이용해야 한다.
조리원은 정부가 사활을 거는 인구소멸 위기와 저출산 문제 해결의 핵심 인프라라는 점에서도 국비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신생아실 [연합뉴스]
앞서 정부는 조리원 건립비도 전혀 지원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남원시가 전체의 74%가량인 86억원을 부담했다.
여기에 매년 10억원 안팎의 운영비까지 떠안기에는 열악한 재정 상황을 고려할 때 부담이 너무 크다는 게 남원시의 입장이다.
남원시 관계자는 "인구소멸지역인 지리산권 9개 시·군 산모를 위한 시설인데 우리에게 건립비와 운영비까지 모두 떠안으라는 것은 지나치다"며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정부의 예산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