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3일 홈플러스가 15개 점포 추가 폐점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미 회생 이전에 폐점이 결정된 7곳까지 합치면 전국적으로 22개 매장이 사라지고, 남는 점포는 102개뿐입니다. 회사는 이를 ‘긴급 생존 경영’이라 포장하지만, 실상은 대규모 축소와 청산 절차의 신호탄입니다.
호남 지역 역시 예외가 아닙니다. 순천 풍덕점은 이미 지난해 부지가 개발사에 매각되었고, 통상 1~2년 내 영업 종료가 뒤따른다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 부지에 재입점하겠다’라는 회사 측 설명과 달리, 2020년 이후 폐점 점포 중 재입점 사례는 단 한 건도 없었습니다. 그 불안은 단순한 추측이 아니라 경험에 근거한 합리적 우려입니다.
연쇄적 충격
점포 1곳 폐점이 가져오는 충격은 숫자로도 확인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점포 하나가 닫히면 직접·간접 고용 945명이 줄고, 반경 3km 내 추가 7,898명까지 고용 타격이 확산됩니다. 연간 사회경제적 손실은 약 2,700억 원, 인근 주택가격은 최대 34% 하락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이는 특정 매장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일자리→상권→부동산→지방재정으로 이어지는 연쇄 충격이 지역 전체를 위협합니다. 순천만의 위기가 아니라 광주, 전주 등 호남 전역이 함께 마주한 현실입니다.
기업회생 초기 동광주점의 매각을 진행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고, 최근 15개 점 폐점발표에 전주 완산점이 포함되었습니다. 전주 완산점은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한 이후 매각 후 재임차한 점포로 매각할 때는 비싸게 팔기 위해 임대료를 높게 책정했다가 지금은 임대료가 높다고 폐점을 통보한 점포입니다.
청산을 앞세운 구조
법원이 지정한 조사위원(삼일회계법인)은 홈플러스 청산가치(3.7조 원)가 계속기업가치(2.5조 원)보다 높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는 청산이 오히려 ‘합리적 선택’이라는 신호를 시장에 던진 셈입니다. 사모펀드 MBK는 ‘인가 전 M&A’를 말하지만, 실제 매각이 성사되기 전까지 비용 절감과 폐점 확대는 불가피합니다. 지역사회가 그 고통을 떠안게 되는 구조입니다.
실제로 순천 풍덕점을 인수한 퍼스트씨엔디는 홈플러스 매출 상위권인 대전 유성점 부지용도 변경까지 신청했고, 최근 조건부 수용되었습니다. 이 흐름은 호남 지역 주요 점포에도 확산될 수 있다는 경고입니다. 순천 풍덕점의 폐점 불안은 곧 조례점, 광주, 전주 등으로 옮겨붙고 있습니다.
지역사회와 정부의 역할
대형 유통 거점이 무너지는 것은 단순한 쇼핑 공간의 상실이 아닙니다. 생활 인프라가 붕괴하고, 도시의 경제와 인구 구조, 심지어 아이들의 생활반경까지 축소됩니다. ‘다른 대형마트가 들어서면 된다’라는 단순 논리는 충격의 속도와 규모를 과소평가하는 것입니다. 상권 축소와 자산가치 하락은 즉각적이며, 단기간에 대체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번 사태는 기업 내부의 경영 문제가 아니라 지역 전체의 사회경제적 재난으로 다뤄져야 합니다. 순천뿐 아니라 호남 전체가 위기에 직면한 지금,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를 지역경제 위기관리 차원에서 다뤄야 합니다. 일자리, 상권, 부동산, 지방재정을 지켜내는 것은 곧 지역사회의 생존과 직결된 과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