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인터넷신문]전라남도는 올해 친환경 농산물 인증 면적이 15년 만에 늘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 소식은 겉으로 보기에는 매우 고무적이다. 지난해 말보다 1,034ha 늘어난 3만5,328ha. 숫자로만 본다면 확실히 긍정적 변화이다. 그러나 이 수치가 친환경농업의 실질적 성과를 말해주는가, 앞으로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는가에 대해서는 따져볼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분명하다. ‘면적 증가’는 친환경농업의 본질적 성과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번 인증면적 확대는 농업직불금 단가 인상, 친환경 벼 공공비축 전량 매입, 쌀 생산조정제 등 각종 정책지원의 영향이 컸다. 즉, 농민들이 친환경농업을 ‘선택’했다기보다 ‘정책 조건에 맞추어 참여’한 결과일 가능성이 크다. 보조금이 줄거나 지원정책이 바뀌면 언제든 인증면적이 다시 감소할 수 있는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다. 지난 15년간 인증면적이 크게 늘어나지 못한 근본 이유도 결국 친환경농업이 농가의 실질적 경제성으로 이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친환경농업이 지속가능하게 자리 잡으려면, 정책이 아니라 시장이 그 가치를 인정해야 한다. 다시 말해 “친환경으로 재배했더니 돈이 된다”라는 확신이 농민에게 생겨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친환경 인증을 유지하기 위해 농민이 감수하는 비용과 어려움인 제초제·화학비료 제한, 노동력 증가, 병해충 관리 부담 등에 비해 실제 수익은 충분히 보상되지 못하고 있다. 인증은 따냈지만 제값을 받지 못하는 친환경 농산물이라면 농민에게는 지속할 이유가 없다.
따라서 전남이 지금 강조해야 할 것은 면적 증가가 아니라 친환경재배의 경제적 성과다. 전남의 친환경농산물이 일반 농산물보다 꾸준히 20~30%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지, 친환경 쌀이 공공급식·로컬푸드 시스템을 통해 안정적으로 판로를 확보하고 있는지, 친환경 과일·채소가 지역 브랜드로 자리 잡았는지 등 실제 소득 증대의 근거를 보여줘야 한다. 유통망 개선, 산지 조직화, 친환경 전문브랜드 육성 없이는 면적 확대는 금세 한계를 드러낸다.
또 하나 중요한 점은 친환경농업의 환경적 효과를 정량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토양유기물 증가, 농약 사용량 감소, 하천의 농약류 검출 감소, 생물 다양성 회복 등은 친환경농업이 존재해야 할 이유이자 소비자가 친환경을 지지하는 근거이다. 이러한 데이터를 도민과 소비자에게 투명하게 제시할 때, 친환경농업은 단순한 인증제도가 아니라 지역자원 관리 전략으로 자리 잡는다.
진정한 성공은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증명된다. “전남 친환경 농가는 지난해보다 소득이 증가했다.” “친환경농업 도입 후 지역의 토양·하천 환경이 개선되었다.” 이 두 가지가 확인될 때 농민은 친환경을 ‘정책사업’이 아니라 ‘미래전략’으로 받아들인다. 면적이 늘어났다는 홍보보다 이런 결과가 훨씬 더 강력한 설득력을 가진다.
전남의 친환경농업은 이제 면적 중심의 정책 단계에서 벗어나야 한다. 친환경농업의 성과는 단위면적의 넓이가 아니라 농민의 삶을 얼마나 변화시켰는지, 지역 환경을 얼마나 개선했는지, 시장에서 얼마나 경쟁력을 갖추었는지로 평가되어야 한다. 농민이 친환경을 선택하는 이유가 보조금이 아니라 소득과 미래가 되도록 하는 것. 그것이 전남 친환경농업이 다음 15년을 준비하는 가장 현실적이고 지속가능한 길이다.
참고문헌
허북구. 2025. 전남도 친환경농업과 대만의 친환경 농산물 통합 모델. 전남인터넷신문 허북구 농업칼럼(2024-11-06).
허북구. 2025. 대만에서 배우는 전남 친환경농산물 소비 확대 전략. 전남인터넷신문 허북구 농업칼럼(2024-06-03).
허북구. 2022. 전남 친환경농업, 포장에서 퇴색되지 않도록. 전남인터넷신문 허북구 농업칼럼(2022-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