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경남도, 새끼 따오기 이름 다소미(♂) 부여 - 중국에서 도입한 어미새(룽팅♀, 양저우♂)에서 탄생
  • 기사등록 2011-02-09 14:47:03
기사수정
경남도가 지난해 5월 부화 된 새끼 따오기 2마리의 생존이 확실시됨에 따라 그중 수컷의 이름을 다소미로 정했다고 9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여름 김두관 도지사가 우포 따오기 복원센터 방문 시 창녕군수(김충식)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산란이후 6개월 정도 지나 성조의 모습을 갖춤에 따라 수컷 한 마리에 대하여 ‘다소미’로 이름을 짓게 된 것이며, 나머지 암컷의 이름은 창녕군에서 이름을 짓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소미’는 중국에서 도입한 어미새 룽팅(♀)과 양저우(♂)에서 태어났으며, 이름에 담긴 뜻은 “새끼를 많이 낳아 우포늪과 같은 아름다운 늪을 널리 알려 달라”는 것으로서 생태계의 중요성과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강조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경남도는 새끼 따오기 이름 부여를 계기로 앞으로 5년 이내 따오기 개체수를 50개체 이상 늘려 나가기로 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포 따오기 복원센터에 대한 국?도비 지원을 대폭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 밝혔다.

우선, 경남도는 창녕군의 따오기 복원?증식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키 위해 지난해까지 도비를 포함하여 1억7천만원을 지원했으나, 금년에는 1억원이 늘어난 국·도비 2억7천만원을 지원할 계획을 확정한 바 있었으며, 금번 따오기 이름 짓기와 함께 추가로 1회 추경에 도비 5천만원을 확보해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따오기 개체 수 증식과 유전자 다양성 확보를 위해 금년 3월말 경에 한?중 따오기 전문가 및 관계자 등이 참여한 가운데 한?중세미나를 개최하고 따오기 추가 도입을 위한 상호교류 방안과 협력 사업을 발굴·추진하는 등 조속히 추가도입 문제를 구체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2009년도 태어난 따오기(따루♀, 다미♀)는 암컷 2개체로 근친교배 방지와 증식을 위해서는 현재 수컷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조류인플루엔자(AI)로부터 따오기를 보호하기 위해 방역차량(1.4t) 1대, 소독용 고압식 전동 분무기 1대, 다목적 방역기 1대 등을 확보하여 매일 방역하고 있다.

특히 야생조류 분변 낙하에 대비하여 번식케이지 지붕 방역을 실시하는 등 가림막을 설치하고 관계자 외 출입을 엄격히 통제하는 등 따오기 사육 매뉴얼에 따른 방역 프로그램을 철저히 이행하여 따오기 지키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경남도 관계자는 따오기를 향후 우포늪의 깃대종으로 활용, 생태관광을 활성화하고 국민적 차원의 생태교육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jnnews.co.kr/news/view.php?idx=4876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유엔(UN)’ 인정 최우수 관광마을 퍼플섬!!!
  •  기사 이미지 보성읍 동윤천, 공조팝나무 만개 하얀 꽃물결 장관 이뤄
  •  기사 이미지 전남선관위, 목포해상케이블카에서 유권자를 만나다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