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치유농업 및 치유농장 마케팅에서 4P와 7P 전략 - 전주기전대학 치유농업과 겸임교수 허북구
  • 기사등록 2025-08-20 09:01:50
기사수정

[전남인터넷신문]치유농장에서 행해지는 농촌 체험, 농업 교육, 힐링 프로그램 등은 농가의 새로운 소득원이 될 뿐 아니라 도시민에게는 건강한 휴식과 회복의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자원을 갖추고 있더라도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대중적 확산과 지속 가능성은 담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고전적 마케팅 프레임워크인 4P와 서비스업 특화 확장 모델인 7P는 치유농업과 치유농장을 운영하는 이들에게 중요한 길잡이가 된다. 마케팅의 4P 개념은 미국의 마케팅 학자 이. 제롬 매카시(E. Jerome McCarthy)가 1960년에 출판된 책인 기본 마케팅(Basic Marketing: A Managerial Approach)을 통해 처음 소개한 것이며, 제창한 4P는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Place), 판촉(Promotion)을 의미한다.

 

이는 판매자 측의 시각에서 고객에게 제품을 전달하는 기본적인 틀을 제공한다. 치유농업에서 제품은 단순한 농산물이 아니라 다양한 체험과 서비스까지 포괄한다. 라벤더 향 체험, 텃밭 가꾸기 프로그램, 치유정원 산책 등은 고객이 느끼는 정서적 안정과 공동체적 경험이라는 가치를 담고 있다.

 

가격은 단순히 원가와 이윤의 합계가 아니라 고객이 체험을 통해 얻는 치유 효과와 만족도를 반영해야 한다. 가족 단위 할인제, 노인 복지 연계형 가격, 구독형 체험권과 같은 가격 전략은 치유농업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고 고객층을 넓힌다. 유통은 농장의 물리적 입지와 더불어 온라인 예약, 모바일 안내, 학교·병원·복지기관과의 협업까지 포함된다.

 

치유농장은 소비자들의 접근성을 확보하고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고객과 만나는 전략이 중요하다. 판촉은 치유농업이 가진 무형의 가치를 전달하는 핵심 수단으로 참가자 후기, 스토리텔링, SNS 인플루언서 협업, 계절별 체험 프로그램 홍보 등은 고객에게 ‘가고 싶은 농장’이라는 이미지를 심어준다.

 

그런데 치유농업은 서비스업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4P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그래서 1981년 영국의 학자 버나드 H. 붐스(Bernard H. Booms)와 메리 J. 비트너(Mary J. Bitner)가 제창한 7P가 보완적으로 활용된다. 7P는 기존 4P에 사람(People), 과정(Process), 물적 증거(Physical Evidence)를 더한 개념이다.

 

사람은 치유농업의 품질을 좌우한다. 농장을 운영하는 치유농업사와 직원, 프로그램 강사의 태도와 전문성은 고객의 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함께 참여하는 고객들 또한 서비스 경험의 일부가 된다. 따라서 인력 교육과 고객 간 교류 설계가 중요하다. 과정은 예약에서 체험, 결제, 사후 관리까지 전 과정을 의미한다. 예약 시 고객의 기호와 건강 상태를 미리 파악해 맞춤형 프로그램을 안내하거나 체험 후 만족도 조사와 재방문 혜택을 제공하는 것은 고객 충성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물적 증거는 치유농업이 제공하는 보이지 않는 치유 효과를 신뢰하게 만드는 요소다. 친환경 인증서, 농장 시설의 청결도, 고객 후기, 언론 보도, 직원 유니폼 등은 서비스의 신뢰성을 높이고 신규 고객의 불안을 해소한다. 치유농업은 농촌 지역경제 활성화, 도시민의 심신 치유, 고령사회 돌봄, 아동·청소년 교육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내포한다.

 

이러한 산업적·사회적 특성을 고려하면 마케팅 전략 또한 입체적이고 균형 잡혀야 한다. 4P는 제품과 시장을 연결하는 기본 구조를 제공하고 7P는 서비스업으로서의 치유농업 특성을 보완한다. 농장의 운영자는 기업 중심의 시각인 4P를 통해 체계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동시에 고객 중심의 사고를 반영한 7P를 적용하여 서비스 품질을 강화해야 한다.

 

이 두 가지를 조화롭게 활용할 때 치유농업은 일회성 체험이 아닌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다. 치유농장의 성패는 좋은 농산물이나 프로그램을 갖추는 데서 그치지 않고 그것을 어떻게 포장하고 누구에게 전달하며 어떤 경험으로 이어가는지가 핵심이다. 이. 제롬 매카시의 4P와 붐스 & 비트너의 7P는 치유농업이 농촌 체험을 넘어 산업적 성장과 사회적 가치 실현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든든한 나침반이 된다.

 

참고문헌

허북구. 2025. 치유농업과 치유농장에서 AIDMA 마케팅 전략. 전남인터넷신문 치유농업과 음식칼럼(2025.8.16.).

허북구. 2017. 지역문화를 살리는 박물관 경영 마케팅 길잡이. 중앙경제평론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jnnews.co.kr/news/view.php?idx=41156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청년자원봉사단 위아원, 무더위 속 헌혈로 생명 나눔
  •  기사 이미지 보성군, 감쪽같은 전어축제 ‘꽉 잡았다!’ 전어와 함께 터지는 웃음
  •  기사 이미지 보성군, 2025 을지연습 실제 훈련 사이렌 속 신속 대피
한국언론사협회 메인 왼쪽 1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